<어린이환경권2>식품첨가물, 과연안전한가?

지난 9월5일, 서울환경운동연합 벌레먹은사과팀의 이지현팀장의 식품첨가물에 대한 강의가 있었습니다.
벌레먹은 사과팀은 최근 소세지속의 아질산나트품 과함량 문제, 라면을 포함한 국민다소비 식품에 나트륨과다소비 문제등 식품첨가물이 국민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활동을 펼쳐왔습니다.


이날 강의에서의 핵심내용은 식품첨가물 문제에 있어 아래와 같은 원칙이 지켜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 건강한 사람이 아닌, 약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사용량 기준 강화

○ 식품원료 및 첨가물로 사용된 모든 것은 소비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제 강화

○ 식품첨가물 사용량 및 잔류량 표기 의무화

○ 안전성이 보장되기 이전에는 사용 금지

○ 식품첨가물 다중 노출에 의한 위해성 전면 재평가 고려


현재 각 식품에 들어갈수 있는 식품첨가물의 허용기준치는 전국민의 산술적 평균치로써, 성인보다 체중이 작고 외부인자에 민감한 어린이, 생물학적 약자등에 대한 보호기준으로써는 부적합것이며, 보통 식품첨가물의 섭취가 한두가지 식품에 의한것이 아닌 매우 다양한 식품에 의해 섭취가 되기때문에 국내허용기준을 넘지않는 식품이라할지라도 이러한 식품을 몇가지만 섭취하더라도 1일 성인이 섭취해야할 기준을 초과해버린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즉, 현행 법과 제도하에서는 식품첨가물로부터 사람을 보호할 종합적인 대책이 부재하다고 해도 무방할것입니다.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더라도 먼저 사용하고, 추후 안전성에 문제가 밝혀지면 사용금지시키는 '선사용 후조치'의 정책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국민의 보건에 중심을 두고있는 보건복지부 산하 식약청의 존재의 최우선적 의미가 기업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보호하기 위함인지, 국민의 보건을 최선에 두는것인지 의아심이 드는 부분입니다. 최근, 환경문제있어 정부에서도 '사전예방의원칙'을 받아들이는 추세이지만, 식품과관련해서는 아직도 사후조치 중심이어서 보건문제의 후진성을 면하고 있지 못하는것 같습니다. 현재 안전성에 논란이 되고있는 식품(첨가물)에 대해서는 그 사용을 금지시키거나 엄격히 규제해야함이 마땅하리라 봅니다.

마지막으로 첨가물에 대한 성분표시인데, 강좌에의하면 내년부터 가공식품에 모든 성분이 표시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정부에서는 이 표시방법을 성분의 본 명칭을 사용하지 않고 코드화하여 표시를 한다고 합니다. 이럴경우 모든국민이 식품첨가물 사전이라도 지참하여 일상생활속에서 필수품으로 이용되기라도 해야할것 같습니다.

이번 강좌를 통해 식품첨가물의 현재 관리실태와 주요 쟁점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수 있었는데요
지역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지역공동체에서 바꿔나갈수 있는 부분을 고민해야 할것 같습니다.

예를들어

○ 영양섭취와 관련하여 하루섭취권장영양소(?)가 있는것처럼, 이제는 하루에 얼마이상을 섭취하지 말아야 하는 하루허용식품첨가물(?) 등을 만들어 학교와 가정에서 모니터링할수 있도록 하거나

○ 학교에서 어린이들을 위한 어린이보건 학습시간을 편성하여 어린이 스스로 유해식품, 환경을 찾지 않도록 교육하는 것

○ 학교급식에 친환경농산물 사용하기, 화학조미료사용안하기, 식품첨가물이 들어간 가공식품의 사용을 줄이기등의 캠페인 전개

○ 학교, 어린이집, 유치원등 어린이들의 공공생활공간에서 어린이 환경권을 지키기 위한 제도적 뒷받침(어린이 환경권 조례재정)등 의 실천적 운동과제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것 같습니다.

'어린이 건강과 환경' 연속기획강좌는 개인실천을 넘어 지역공동체에서 우리 어린이들의 환경권을 지키기위해 해야하는, 할수있는 과제를 발굴하고, 변화를 위한 행동을 하기위해 기획되었습니다. 앞으로도 활동에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댓글 달기